본문 바로가기
회계

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차이점

by 쬬잉 2022. 11. 29.
300x250
반응형

 

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

*간이과세자:

주로 소비자를 상대하는 업종으로서 연간매출액이 8,000만원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규모사업자의 경우에는 간이과세자로 등록.(부동산 임대사업자 및 과세 유흥장소를 경영하는 사업자는 4,800만 원 미만)

- 간이과세자는 업종별1.5%∼4%의 낮은 세율이 적용되지만, 매입세액의 0.5%만을 공제받을 수 있어요.

[예를 들어 매출액의 10%에 소매업의 업종별 부가가치율 15%를 곱한 금액에서 매입액 0.5%를 차감한 금액을 부가세로 납부]

21년 7월부터 연 매출 4800만원 이상 8000만원 이하 간이과세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발행대상

[홈택스에서 세금계산서 발행의무가 있는 간이과세자는 '간이과세자(세금계산서 발급 사업자)'로 조회되요]

- 기존 간이과세자의 경우 의제매입세액공제를 받았으나 이제는 의제매입세액공제 받을수 없어요.

*4800만원 미만 사업자는 세금계산서 발급 불가능. 기존처럼 영수증 발급. 매입세액 공제 불가.부가가치세 납부 의무면제.

 

 

<2021.7.1이후>

업종 부가가치율
소매업, 재생용 재료수집 및 판매업, 음식점업 15%
제조업, 농업, 임업 및 어업, 소화물 전문 운송업 20%
숙박업 25%
건설업, 운수 및 창고업
(소화물 전무 운송업은 제외), 정보통신업
30%
금융 및 보험관련 서비스업,
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
(인물사진 및 행사용
영상 촬영업 제외)
사업시설 관리, 사업지원
및 임대서비스업, 
부동산 관련 서비스업,
부동산 임대업
40%
그 밖의 서비스업 30%

 

*일반과세자:

연간 매출액이 8,000만원 이상으로 예상되거나 간이과세가 배제되는 업종 또는 지역에서 사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과세자로 등록.

- 일반과세자는 10%의 세율이 적용되는 반면, 사업과 관련된 물건 등을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세금계산서상의 부가가치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고,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어요.

 

부가세 신고시 간이과세자는 1년에 한번(1월25일까지), 일반과세자는 상반기 1월 -6월분을 7월 25일까지 신고 및 납부,

하반기 7월 -12월 분을 1월 25일까지 신고 및 납부를 하여야 해요. 

종합소득세 신고는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 동일하게 매년 5월 31일까지(성실사업자 제외)이며,

간이과세자라고 할지라도 매입 원재료 세금계산서 등 자료를 꼼꼼히 챙겨 종합소득세 신고때

세금을 조금이라도 아낄 수 있게 증빙자료들을 잘 모아둡시다.

 

                 

320x100
반응형

'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맞벌이 부부 연말정산 Tip!  (0) 2022.12.07
2023년 4대보험 요율은?  (0) 2022.12.05
2023년 최저시급 얼마?  (0) 2022.12.01
가지급금과 가수금  (0) 2022.11.30
화물종사자 사업자 등록증 신청 방법  (0) 2022.11.28

댓글